온라인에서 상대방이 진행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을 보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 즉, 게임에서 맵핵을 쓰는 것과 같다. 영미권에서 방플에 해당하는 용어로는 Stream sniping이 있다. 말 그대로 스트리밍 저격. 줄여서 sniping이라고도 부른다.
기본적으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거의 모든 게임 장르(AOS, FPS, TCG, RTS)에서, 방플은 게임의 기본 요소인 경쟁 자체를 성립하지 않게 만드는 수준의 밸런스 붕괴를 일으킨다.
아프리카 TV에서도 방플은 예외가 아니다.
대부분의 BJ들은 방플을 방지할 목적으로 19세 연령제한을 걸게 되는데, 이는 확실한 해결책은 아니다.
마음먹고 방플을 하는 사람은 얼마든지 아프리카 TV 부계정으로 할 수도 있고, 자기가 방송을 하면서 동시에 다른 기기를 이용해 방플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확실한 해결책은 방송 송출에 딜레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방플은 실시간으로 방송을 보면서 플레이해야 하는 것인데 방송 송출에 딜레이를 설정하게 되면 방플을 못하게 된다.
다만, 한 가지 문제점은 방송에 있는 시청자 또한 딜레이가 생겨 실시간 소통을 못하게 된다는 점이다.
방송 송출에 딜레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존 아프리카 TV 스튜디오 또는 프릭 샷으로는 설정할 수 없고,
외부장치(OBS Studi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송 설정해야 한다.
OBS Studio 방송 원컴 설정하는 법
먼저 위 사이트에서 OBS Studio를 32bit로 다운로드합니다. (64bit 프레임 하락 발생)
1. 스트림 키 복사 및 OBS Studio에 붙여 넣기.
방송국 로그인 후 외부장치 방송 설정 -> 인코더 설정 -> 스트림 이름을 복사합니다.
OBS Studio -> 설정 -> 방송 탭으로 이동 후 아프리카 TV 선택 후 복사한 스트림 키를 붙여 넣기 합니다.
2. 출력 탭에서는 인코더 설정 및 목표 사용 수준, 비트레이트(화질) 등등 여러 가지 설정 값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Quick Sync 활용 하는 방법
원컴 방송 시 제가 추천드리는 설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코더 : QuickSync H.264
목표 사용 수준 : balanced
프로파일 : high
키프레임 간격 (초 단위, 0=자동) : 2
비동기(Async) 심도 : 4
데이터율 제어 : CBR
비트레이트 : 8000 Kbps
B Frames : 0
3. 비디오 탭에서는 화면 해상도와 프레임 값 조정이 가능하며 최대 60 프레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고급텝에서는 그림과 같이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색상 형식 : NV12
색 공간 : 709
색상 범위 : 전체
5. 대망의 방플(방송 플레이)을 방어하기 위해 방송 지연을 활성화해주시고 원하는 지연 시간 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6. 마지막으로 소스 목록 -> 추가 -> 디스플레이 캡처 -> 확인을 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이 캡처가 됩니다.
7. 방송 제목 및 방송테마 등등은 스트림 키를 복사한 외부장치 방송 설정에서만 조정이 가능합니다.
경쟁할 때 이기는 것에만 집중하여 불공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사용하면 유저 간의 신뢰와 협력이 깨져 갈등과 혼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리그를 주최할 경우 핵 프로그램 사용자들의 리그 출전을 금지시켜 논란을 없애는 것처럼 방플(방송 플레이) 또한 개인 방송뿐만 아니라 리그 중계방송에 딜레이를 걸어 사전에 미리 방플을 차단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optimization > PC 잡다한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 어댑터를 사용하면 딜레이가 증가한다고?? (0) | 2020.10.01 |
---|---|
키보드 반응속도 최적화 레지스트리? 그딴건 없다!!! (0) | 2020.09.30 |
OBS Studio 인코더 하드웨어 가속(Intel® Quick Sync) 활용법 (1) | 2020.03.18 |
[모바일]HTTPS 차단 우회하는 법 (2) | 2019.02.20 |